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프리랜서 퇴직금 신고 계산 노동청 가기 전 <필독>
    카테고리 없음 2024. 11. 5. 14:22
     
     

    법원 바로가기

     

    🔔 프리랜서 퇴직금 신고 계산

    노동청 가기 전 <필독>

    목차 및 정리

    1. 권리를 행사하기 위해서

    2. 비정규직에 대해서

    3. 받을 수 있는 금액

    4. 노동자라고 판단하는 기준

    5. 금전을 받아 낸 사례

    6. 맺음말

     

    1.

    권리를 행사하기 위해서

     
     
     
     

    과거에는 직원들을 보호해주고 권리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법이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피해를 당한다고 해도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상황이 달라졌는데요. 직원들을 보호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노동법들이 제정되었습니다.

    덕분에 프리랜서 퇴직금 신고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증가했습니다.

    정규직과는 다른 형태이기 때문에 궁금한 점이 많을 텐데요. 그럴 때에는 법무법인 대륜처럼 경험과 노하우가 풍부한 곳을 찾아 자문을 진행하시기를 바랍니다.


    2.

    비정규직에 대해서

     
     
     
     

    최근에는 각종 SNS 등의 발전으로 회사에 종속되지 않고 개인적인 사업을 하는 분들이 늘어났습니다.

    회사에 종속되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이지만, 이러한 점을 악용하여 블랙기업에서는 마치 일반 직원 것처럼 근무를 시키면서도 비정규직의 신분을 유지하도록 만드는데요.

    덕분에 근기법을 위반한다고 해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중에서도 프리랜서 퇴직금 신고 계산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물론 비정규직이라고 해서 금전을 받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계약한 곳에서 실질적인 직 원으로 1년 이상 근무를 하였을 경우에는 지급해야 된다고 이야기하기 때문입니다.


    3.

    받을 수 있는 금액

     
     
     
     

    ✍ 프리랜서 퇴직금 신고 계산 금액

    퇴사하기 3개월 간 평균 임금 * 연차

    위의 계산법을 활용하시면 비정규직이라고 해도 자신이 어느 정도의 금액을 받고 회사를 나갈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종종 이를 지급하지 않는 회사도 있는데요.

    현행법에서 지급하도록 명시한 금전이므로 이를 지급하지 않을 경우에는 노동청에 신 고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다만 노동청에 신 고하기 위해서는 본인이 근로자라는 걸 입증할 만한 증거가 필요합니다.

    증거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개인적으로 챙기기 어려운 부분도 많으니 이왕이면 법률 전문가와 함께 수집하시기를 바랍니다.


    4.

    노동자라고 판단하는 기준

    🔔 프리랜서 퇴직금 신고 계산 입증

    1) 근 로 자 성 입증 증거 확보
    2) 노동청에 신 고
    3) 재판을 청구

    회사를 나왔을 때 자신이 일한 것에 대한 금전을 받아내고 싶다면 본인이 근로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를 수집해야 합니다.

    현행법에서는 비정규직도 근로자로 판단하고 있지만, 계약서 등에서 자신의 근로 사실을 입증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습니다.

    단순히 월급을 지급 받았다는 것이 증거가 되기에는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근로자라고 판단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것이 좋은데요.

    🔸 업무 내용을 사업주가 정하고 있는지
    🔸 취업 규칙 등 사업주가 정한 인사 규정 등의 적용을 받았는지
    🔸 업무 수행 과정에서 사업주가 상당한 지휘나 감독을 하는지
    🔸 근무시간과 근무 장소가 정해져 있으며 이에 대해 구속을 받고 있는지
    🔸 기본 급여나 고정급여가 정해져 있는지

    등을 입증하시면 됩니다.

    ✨ 저희는 증거대응그룹 운영하여

    탐정자격 보유한 직원들이

    직접 합법 증거 찾아드립니다.


    5.

    금전을 받아 낸 사례

     

    프리랜서 퇴직금 신고 후

    계산 받은 사례입니다.

    📌사실 배경

    의뢰인은 사업자계약으로 회사에 입사하였습니다. 1년 간의 근무 끝에 회사를 나오게 되었는데요. 이때 실질적으로는 일반 직원의 대우를 받았습니다.

    때문에 급여와 별개로 위로금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나 아무리 연락을 취해도 회사 측에서는 금전을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본 법무법인에게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법률적 요건

    노동청에서 이야기하는 근로자의 요건을 충족한다면 노동부에 신 고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안

    근기법 요건 충족
    의뢰인은 1년 간 정해진 장소에서 정해진 업무를 수행하는 실질적 직원이였음을 입증하였습니다.

    👉 확실한 증거를 활용하여 노동청에 신 고하자 의뢰인은 금전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6.

    맺음말

    프리랜서 퇴직금 받지 못했을 때

    도움을 요청할 만한 곳

     
     
     

    변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게 좋을까요?

    요즘은 직원들을 위한 제도가 워낙 마련되어 있다 보니 굳이 법률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아도 고민이 해결될 수 있으리라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고 해도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프리랜서 퇴직금을 계산 받고 싶다면 전문 변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대처해야 하는데요.

    전국 규모의 로펌에서 해결한 사례를 토대로 개인에게 알맞은 대응책을 이야기해 드리는 곳이니 조속히 손을 잡으시기를 바랍니다.

Designed by Tistory.